분류 전체보기48 안창호의 노력과 임시정부의 위기 1. 독립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 "우리의 혁명은 민족혁명이외다!" 1919년 3·1 만세운동 소식을 들은 안창호는 마침내 독립운동을 전개할 시기가 왔다고 판단해 5월 25일 상해를 찾았다. 1842년 난징조약 결과 일찍 개항한 상해는 그 무렵 중국의 경제 중심지이자 아시아 최고의 자유 무역항으로 성장해 있었다. 열강들이 설치한 조계와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 당시 독립운동가들은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치외법권 지역인 프랑스 조계에 정착했다. 그리고 그곳에 도산 안창호가 도착했다. 1919년 4월 11일, 상해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정부 청사는 안창호가 미주 교포들에게 모금해 온 자금으로 마련됐고, 곧 정부의 외형을 갖추었다. 3·1운동 이후 억눌렸던 민족의 욕구가 다시 끓어오르자 국내·외 .. 2022. 11. 26. 조국의 독립 마스터플랜을 세운 안창호 1. 독립을 위해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한 안창호 1905년 4월, 샌프란시스코 퍼시픽 가로 돌아와 사무실을 얻은 안창호는 친목회에서 발전된 공립협회를 조직했다. 리버사이드 한인촌의 경험으로 안창호는 뜻을 같이하는 임준기, 정재관, 송석준, 이강과 함께 새로운 도전에 나섰고, 공립협회 초대 회장에 선임됐다. 안창호는 첫 사업으로 한 달에 두 번씩 편집하고 인쇄하는 공립신보를 발행, 구국 언론으로 독립운동을 주도했다. 한인 이주민들은 공립 신문을 통해 일자리 등의 정보를 교류하며 한인타운의 구심체로 성장했고, 공립신보는 미주를 물론 국내, 만주, 러시아까지 배포됐다. 그 당시엔 '윤독(돌려 보는 풍습)'이 있어 신문 한 부가 들어갔다는 것은 그 일대의 지식인들이 모두 본다는 의미였다. 공립신보는 사실상 들어.. 2022. 11. 25. 도산 안창호가 미국으로 떠난 이유 1. 토론회의 스타, 안창호 낙망은 청년의 죽음이요, 청년이 죽으면 민족이 죽는다. 묻노니 오늘 대한의 주인 되는 이가 몇이나 됩니까. 빛을 잃은 민족에게 자기로부터의 혁명을 외치며 평생을 도전했고 거듭 실패하며 좌절했던 한 사람. 그리하여 영원한 청년이고자 했던 한 사람. 도산, 당신의 의미는 지금 우리에게 어떻게 다가오고 있을까. 어떻게 다가와야 할까. 구한말 개화와 선교의 요람이며 서양 외교의 각축장이자 새로운 문화의 산실이었던 서울 정동. 1894년, 평양에서 상경한 16살 안창호는 정동 거리에서 미국인 선교사 밀러를 만나고, 언더우드 사랑채에서 시작된 고아 학교에 입학했다. 안창호는 학교에서 필요로 하는 일꾼들을 모아 그들에게 평양의 열정과 힘을 가르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선교사 밀러의 .. 2022. 11. 25. 윤봉길의 희생과 임시정부 지원 재개 1. 독립을 위해 희생을 결심한 윤봉길 만주 전쟁과 상하이 사변의 승리에 도취했던 전범국. 1932년,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열릴 일왕의 생일연회와 전승 축하 행사. 누구나 참석할 수 있는 그 행사에서 참석자가 준비해야 했었던 것, '도시락'. 소식을 듣고 유독 눈빛을 빛내던 사내가 일왕의 생일 연회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연회장에 울려 퍼지던 전범국 국가, 그리고 그 순간 날아든 폭탄. 행사장을 아수라장으로 만들어 전범국의 위신을 추락시키고,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24세 청년.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그 청년이 던진 폭탄은 도시락 폭탄이 아니었다. 대한독립을 꿈꾸는 농촌 계몽가였던 윤봉길. 19세부터 야학당 운영, 농민 독본 저술, 부흥원 설립, 월진회 조직 등 문맹 퇴치와 민족의식 고취에 앞장섰지만.. 2022. 11. 23.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