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현대사39

4·19혁명이 일어난 이유와 결과 1. 4·19혁명의 배경 광복 후 시작된 이념 갈등과 남·북 단독 정부 수립, 6·25전쟁으로 폐허가 된 대한민국. 국가 재건에 힘썼어야 할 이승만과 자유당 정권은 수습을 뒤로하고 전쟁 중 헌법을 개정하여 제2대 대통령에 이승만 취임, 다시 헌법을 개정하여 제3대 대통령에도 이승만이 취임하며 영구 집권의 길을 열었다. 1959년, 이승만은 제4대 대통령 취임에 위협이 된 조봉암에게 누명을 씌워 사형시켰고, 제4대 대통령 자리를 눈앞에 두고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부정선거를 계획했다. 환멸에 기울어 무능해진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가만히 있어선 절대 봄이 오지 않을 것이라 직감한 학생들의 분노가 꿈틀대기 시작했다. 2월 28일, 민주주의의 첫 도화선, 대구 독재 정권하에 진행 예정이었던 제4대 .. 2022. 11. 22.
3·1 운동의 배경과 전개, 결말 1. 3·1 운동의 배경 1910년, 어둠의 시대로 떨어진 나라. 말을 잃고, 이름을 잃고, 나라를 잃고, 목숨까지 잃었던 시대. 암흑이 짙게 깔린 나라에서 반짝이던 눈으로 숭고한 목숨을 바치며 나라를 되찾기 위해 투쟁했던 사람들. 그 사람들이 종로 탑골공원에서 투쟁의 시작을 알렸던 한 마디, "대한독립만세". 1919년 1월 18일, 파리강화회의에서 윌슨 대통령이 제창했던 '민족자결주의'는 전 세계의 식민지들을 들끓게 했다. '열강들이 약소 민족을 침략하는 행위를 멈추고, 약소 민족들이 스스로 의사를 결정하기 위해 해방시켜주자!' 이어 러시아 대표 레닌이 "열강, 제국주의에 핍박받는 약소 민족을 지원해주겠다"는 말은 국외적 독립운동에서 '외교 독립론'의 위치를 더욱 굳건하게 했다. 하지만 너무나 안타깝.. 2022. 11. 22.
광복을 맞이한 대한민국임시정부 1. 광복을 위한 군대 창설 1938년, 일제는 쉬저우, 정저우 점령에 성공했다. 임시정부는 다시 피난길에 올라 광저우에 도착했다. 1938년 가을, 우한의 대공중학교에선 100여명의 한인 청년들이 모여 항일무장을 조직했다. 대장 김원봉을 필두로 조선의용군 조직해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 1938년 광저우에서 류저우에 도착해 1938년 12월 광복진선 청년공작대 조직했고, 1939년 4월 유주에서 구이양을 거쳐 치장에 도착했다. 이동은 중국 정부가 도와주었다. 중국 정부는 광복 전선과 민족전선으로 구분돼있는 양 진영에 통일을 종용했다.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좌우합작 성명서였다. 이 성명서엔 김구와 김원봉이 공동으로 서명했다. 그리고 3개월 뒤 치장현에서는 양 진영의 7단체가 모여 7당 회의를 열었으나 2.. 2022. 11. 20.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분열과 연합 1. 국민대표회의의 소집과 결렬 1920년 10월, 김좌진 홍범도 등이 인솔하는 연합독립군이 백두 산록에서 간도를 침입한 일제 토벌군을 상대로 싸워 대승을 거두었다. 무장 독립을 주장하던 이들에게 큰 힘이 되는 승리였다. 미국에 있던 이승만이 상하이로 와 6개월에 불과했지만 임시 대통령으로서 국정을 수행함. 임시정부 외교의 첫 수확이 3년 만에 광저우에서 있었다. 중국 호법 정부가 한국 임시정부를 승인한 것이다. (임시정부 특사 신규식) 하지만 1921년을 중심으로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들 사이에 분란과 대립이 생겼다. 임시정부를 반대하는 측에서 임시정부를 개조하던지 새 정부를 만들자며 국민대표회의를 소집했다. 결국 1923년에 국민대표회의 열렸다. 국민대표회의는 2개의 파로 나뉘었다. .. 2022. 11. 20.